본문 바로가기

Tips

Git ignore 설정

Git 을 통해 소스 변경 관리를 할 때, 변경 대상이 아닌 파일들을 관리하고 싶을 때 각 저장소별로 또는 해당 폴더별로  .gitignore 파일을 생성하여 제외하고자 하는 파일 이름이나 패턴을 입력하여 사용할 수 있다. 



*.class

*.


하지만 매번 저장소마다 .gitignore 파일을 만들기 귀찮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전역(global) 설정으로 일반적으로 변경관리 대상이 아닌 파일 패턴을 지정해 놓으면 편리하다. 



아래와 같은 내용으로 파일을 생성한다. 여기서는 파일명을 ~/.gitignore_global 로 가정한다. 


# Compiled source #

###################

*.com

*.class

*.dll

*.exe

*.o

*.so


# Packages #

############

# it's better to unpack these files and commit the raw source

# git has its own built in compression methods

*.7z

*.dmg

*.gz

*.iso

*.jar

*.rar

*.tar

*.zip


# Logs and databases #

######################

*.log

*.sql

*.sqlite


# OS generated files #

######################

.DS_Store

.DS_Store?

._*

.Spotlight-V100

.Trashes

ehthumbs.db

Thumbs.db


bin/


terminal 을 열어 다음 명령으로 git config 에 등록한다. 


git config --global core.excludesfile '~/.gitignore'